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공개된 삼성전자 '갤럭시S10'에 내장된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가 암호화폐 거래와 결제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에서 출시된 스마트폰 가운데 암호화폐 거래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처음이다.

22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홍보관 '딜라이트'에 전시된 '갤럭시S10'을 직접 사용해본 결과, 갤럭시S10에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에 대한 소개영상과 설정화면이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능은 국내 대리점에 배포된 시연용 갤럭시S10에만 추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키스토어 소개영상은 '개인 데이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나요?'로 시작한다. 그러면서 삼성 블록체인은 쇼핑몰과 보험, 은행, 게임 등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필요한 개인키를 안전하게 저장해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삼성은 이 영상을 통해 '갤럭시S10이 블록체인 거래와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안전한 스마트폰'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암호화폐 지갑은 비밀번호같은 '개인키'(프라이빗 키)를 보관하는 기능이다. 개인키는 암호화폐 거래에 사용되는 '공개키'(퍼블릭 키)를 생성하는데 이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와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 '공개키'가 통장이라면 '개인키'는 비밀번호인 셈이다. 개인키는 암호화폐 거래와 결제, 스마트 컨트렉트를 성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문보기



WRITTEN BY
BCCPost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 'BCCPost'의 공식 티스토리 페이지입니다.

,

프로그의 암호화폐 브리핑_02/21



http://www.bccpost.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


WRITTEN BY
BCCPost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 'BCCPost'의 공식 티스토리 페이지입니다.

,

 

권한을 분산하다, 위험을 분산하다

 

 

단일한 조정자, 단일한 리더는 위험

프로젝트의 지배 권한은 분산되어야

 

 

[더코인즈] 6 7,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2018 블록체인 코리아 컨퍼런스에 이고르 아르타마노프 이더리움클래식 CTO가 내방했다. 오후에 진행되었던 아르타마노프의 강연 제목은 “POW의 문제, 앞으로의 기대방향이었다. 강연을 통해 그는 블록체인 구조 중 하나인 POW(Proof of War)의 현황과 장래 향방을 탐색했다.

 

 

아라타마노프가 강연 중 가장 힘주어 강조했던 것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중앙의 단일한 리더가 전권을 쥐게 된다면 프로젝트가 위험에 빠자기 십상이라는 점이었다. 예컨대 단일한 조정자는 사리사욕에 따라 부정부패를 저지를 수 있고, 그가 악의적으로 거래내역을 조작하거나 블록체인을 중단하는 등의 여러 위험성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반면 POW에서 위와 같은 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51% 이상의 컴퓨팅 능력을 장악해야 하는데, 블록체인 시스템 하에서 전세계에 퍼져 있는 51% CPU를 장악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아라타마노프는 블록 프로젝트에서의 화폐가 분산되거나 유통되는 과정에 있어 여러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다만 그 조정권이 중앙 혹은 단일한 리더에 손에 주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끊임없이 지적했으며, 블록체인의 특성인 분산화, 탈중앙화의 장점을 상대적으로 강조했다.


WRITTEN BY
BCCPost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 'BCCPost'의 공식 티스토리 페이지입니다.

,

 

LIBRA CREDIT 사의 LU HUA CEO "글로벌 뱅킹 시스템 통해 암호화폐의 브릿지 역할 해보고 싶어"

 

[더코인즈] 6월 7일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18 블록체인 코리아 컨퍼러스에서는 오후 4시 30분부터 30분 가량 LIBRA CREDIT 사의 CEO인 LU HUA의 암호화폐 결제시스템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강연을 시작하며 신용을 말할때 가장 먼저 말하는게 당신이 누구인가, 즉 아이덴티티이며 그것에 따라 신용이 정해진다고 밝혔다. 옛날의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아이디 관리 방식은 지금의 빅데이터 시대로 도달하며 금융기관에서의 로그인, 로그아웃 정보, 검색기록과 같은 사용자 행동이 모두 기록된다고 알렸다. 1초에도 굉장히 많은 데이터가 만들어지는데 어떤 행동을 하든 중앙서버에 기록되며 최근 페이스북의 정보 유출 사건과 같이 중앙서버가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통해 고객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사실도 밝혔다. 그렇기에 유럽연합은 개인정보보호법(GDPR)을 마련했고 기업은 상당한 비용을 들이며 이를 꼭 준수해야 하게 됐으며 중국정부는 개인정보를 사고파는 행위는 금지하는 강력한 규제를 마련했다고도 덧붙였다.

 

블록체인이 어떻게 중앙집중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글로벌하게 접근해보는 시각을 소개했다. 한국에서 아무리 좋은 신용을 가졌더라고 미국으로 이사를 가게 되면 0으로 시작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블록체인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을 전했으며 크립토 밸리라는 새로운 시도 사례를 함께 소개했다.

 

신용관리는 신용을 만드는 것과 함께 얘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본인이 어떻게 블록체인이 비자나 마스터카드를 대체할 수 있냐는 질문을 받았던 이야기를 전했다. LU HUA CEO는 블록체인이 결제시스템을 바꿀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새로운 구매행위를 하는 데에 있어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기존 시스템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다른 시각을 전했다. 대신 블록체인을 가지고 신용평가를 간소화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중앙화된 크레딧평가, 다른 국가에 가면 그동안 쌓은 신용이 소용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화된 ID관리 시스템을 분산형 ID관리 시스템으로 해서 실제로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를 소유하도록 하려고 하는 자신들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이런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Decentralized credit represent opportunity”라는 말과 함께 자신들의 또다른 글로벌 뱅킹 시스템을 통해 브릿지 역할을 해보고 싶은 희망을 밝혔다.


WRITTEN BY
BCCPost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 'BCCPost'의 공식 티스토리 페이지입니다.

,

 

 

ContentBox, 블록체인으로 미래 디지털콘텐츠 시대를 열다

 

 

블록체인으로 창작자·소비자 직접거래 가능

Calvin jiang "목표는 더 좋은 디지털콘텐츠 만드는 것"

 

 

[더코인즈] 6월 7일 서울 용산 드래곤 시티에서 열린 2018 블록체인 코리아 컨퍼런스의 산업/정책부분 6번째 강연자로 올라온 ContentBox CFO인 Calvin jiang은 기존 인터넷 시대에서 블록체인 시대로 변화와 디지털콘텐츠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지난해 팟캐스트 산업에서 현금화를 고민했다. 많은 팟캐스터들이 현금화를 하려면 오디오 광고를 넣어가 스폰서를 찾아야 한다"며 "이로 인해 흑자를 내려면 7만 5천명이 들어야하는데 이러한 문제는 팟캐스트뿐만 아니라 유튜브도 마찬가지다"고 운을 뗐다.

 

ContentBox 제작 계기에 대해 그는 "콘텐츠 창작자뿐만아니라 플랫폼도 문제를 안고 있다. 치열한 경쟁으로 1달러 당 80%가 매출 비용으로 잡혀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비용으로 지불된다"며 "블록체인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 ContentBox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창작자, 플랫폼, 사용자 모두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만들었고, 미래의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미션이다"고 밝혔다.

 

Calvin jiang의 설명에 따르면, 콘텐츠 창작자는 콘텐츠를 만들면 블록체인을 통해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며 기존보다 더 많은 수익을 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콘텐츠 창작에 기여를 하고 완성된 콘텐츠를 공유하며 보상을 받는데, 토큰으로 보상이 이뤄진다. 플랫폼은 매출 비용이 낮아지며 사용자 경험을 올리는데 집중할 수 있게 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강연을 마무리하며 그는 "인수합병 대신 산업에 적합한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우리의 목표는 더 좋은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만드는 것이다"고 전했다.


WRITTEN BY
BCCPost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 'BCCPost'의 공식 티스토리 페이지입니다.

,